FC 간자사르 카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간자사르 카판은 2004년에 창단된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2004년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서 시작하여 2006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되었고, 2008년 리그 3위를 기록하여 UEFA 유로파리그에 진출했다. 2020년 재정 문제로 리그에서 기권했다가, 2021-22 시즌부터 1부 리그에서 활동하며, 2023-24 시즌 1부 리그에서 우승하여 2024-25 시즌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되었다. 간자사르 카판은 아르메니아 컵에서 1회 우승, 1회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2군 팀인 간자사르 카판-2를 운영하고, 유소년 아카데미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 축구에 관한 - FC 퓨니크
FC 퓨니크는 1992년 호메네트멘 예레반으로 창단되어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서 16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3라운드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둔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 아르메니아 축구에 관한 - FC 아라라트 예레반
FC 아라라트 예레반은 1935년 창단된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시절 리그 우승과 컵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고, 아르메니아 독립 후에도 리그 우승과 컵 우승을 기록하며 현재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고 흐라즈단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퓨니크
FC 퓨니크는 1992년 호메네트멘 예레반으로 창단되어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서 16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3라운드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둔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아라라트 예레반
FC 아라라트 예레반은 1935년 창단된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시절 리그 우승과 컵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고, 아르메니아 독립 후에도 리그 우승과 컵 우승을 기록하며 현재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고 흐라즈단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2002년 설립된 축구단 - 알비렉스 니가타 레이디스
2002년 창단된 알비렉스 니가타 레이디스는 일본 여자 축구단으로, 호쿠신에쓰 여자축구리그 우승 후 나데시코 리그를 거쳐 WE리그에 참가하며 황후배 준우승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2018년에는 주식회사로 독립하였다. - 2002년 설립된 축구단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FC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FC는 FC페라다 후쿠시마와 후쿠시마 유메슈단 융커스가 합병하여 탄생한 일본 프로 축구 클럽으로, J3리그에 참가하며 동일본 대지진 이후 지역 사회 재건에 기여하고, 지역 사회의 단결과 발전을 위해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FC 간자사르 카판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FC 간자사르 |
전체 이름 | FC 간자사르 카판 |
별칭 | Արջեր Arjér (곰들) |
창단 | 2004년 |
홈 경기장 | 간자사르 경기장, 카판 |
수용 인원 | 3,500명 |
구단주 | Zangezur Copper and Molybdenum Combine CJSC |
이사 | Vardan Djhanyan |
감독 | Aram Voskanyan |
리그 정보 | |
리그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
시즌 | 2024-25 |
웹사이트 | FC Gandzasar Kapan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 | |
![]() |
2. 역사
FC 간자사르 카판은 2004년에 창단되어 2004년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 참가하며 아르메니아 축구 리그 시스템에 데뷔했다.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서 2년간 활동한 후, 2006 시즌에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승격 이후 꾸준히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동하며 2008년에는 리그 3위를 기록,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2009-10년 UEFA 유로파리그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4년에는 아르메니아 독립컵 결승에 처음 진출했으나 FC 퓨니크 예레반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2020년 11월, 아르메니아의 코로나19 범유행과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으로 인한 재정난으로 2020-21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와 2020-21년 아르메니아 컵 참가를 포기하고 아르메니아 1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후 2021-22년 아르메니아 1부 리그 시즌부터 1부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2023-24년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2024-25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로의 복귀를 확정했다. 이는 2020년 리그 참가 포기 이후 4년 만의 프리미어 리그 복귀이다.
클럽은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서 활동하는 2군 팀 '간자사르 카판-2'를 운영하기도 했으며, 홈 구장은 간자사르 경기장이다.
2. 1. 창단과 초기 역사 (2004-2006)
간자사르 카판은 2004년에 창단되어 2004년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 참가하며 아르메니아 축구 리그 시스템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서 2년간 활동한 뒤, 2006 시즌에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였다.2. 2. 프리미어 리그 승격과 성장 (2006-2020)
2004년 창단 후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서 2년을 보낸 간자사르 카판은 2006 시즌에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로 처음 승격했다. 승격 이후 꾸준히 리그에 참여하며 성장세를 보였다.2008년에는 프리미어 리그에서 3위를 차지하며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유럽 클럽 대항전인 2009-10년 UEFA 유로파리그 출전 자격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2014년에는 아르메니아 독립컵 결승에 처음으로 진출했지만, FC 퓨니크 예레반에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클럽은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서 활동하는 2군 팀 '간자사르 카판-2'도 운영했다.
그러나 2020년 11월 3일, 간자사르 카판은 아르메니아의 코로나19 범유행 확산과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발발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결국 2020-21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와 2020-21년 아르메니아 컵 참가를 포기한다고 발표하며 위기를 맞이했다.
2. 3. 재정 위기와 1부 리그 강등, 그리고 복귀 (2020-)
2020년 11월 3일, 간자사르 카판은 당시 진행 중이던 아르메니아의 코로나19 범유행과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으로 인한 재정 문제 때문에 2020-21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와 2020-21년 아르메니아 컵 참가를 포기한다고 발표했다.이후 팀은 2021-22년 아르메니아 1부 리그 시즌부터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2022-23년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서는 FC 웨스트 아르메니아와 BKMA 예레반-2에 이어 3위를 기록했고, 2023-24년 아르메니아 1부 리그 시즌에도 1부 리그에 잔류했다.
2023-24년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서는 시즌 28경기 중 26경기를 치른 시점에서 우승을 확정하며, 2024-25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로의 직접 승격을 이루어냈다. 이는 2020년 리그 참가 포기 이후 4년 만의 프리미어 리그 복귀이다.
2. 4. 국내 대회 기록
시즌 | 리그 | 국내 컵 | 최고 득점자 | 감독 | |||||||||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이름 | 리그 득점 | |||
2004 | 아르메니아 퍼스트 리그 | 3위 | 30 | 17 | 6 | 7 | 52 | 32 | 57 | 불참 | |||
2005 | 3위 | 24 | 16 | 3 | 5 | 62 | 24 | 51 | 1라운드 | ||||
2006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 5위 | 28 | 7 | 3 | 18 | 28 | 60 | 24 | 8강 | 아르투르 코차랸 | 15 | 블라디미르 페트로시안, 알베르트 사르키샨 |
2007 | 5위 | 28 | 11 | 6 | 11 | 35 | 31 | 39 | 1라운드 | 아르투르 코차랸 | 8 | 수렌 바르세갼, 아브라함 카슈마랸, 삼벨 페트로시안 | |
2008 | 3위 | 28 | 13 | 8 | 7 | 39 | 27 | 47 | 8강 | 알렉산더 페트로시안 | 9 | 삼벨 페트로시안 | |
2009 | 5위 | 28 | 12 | 2 | 14 | 32 | 47 | 38 | 8강 | 아르센 아베티샨 | 14 | 삼벨 페트로시안, 아베티크 사르그샨, 슬라바 가브리엘랸 | |
2010 | 6위 | 28 | 8 | 3 | 17 | 24 | 45 | 27 | 8강 | 아르투르 코차랸 | 8 | 슬라바 가브리엘랸, 알베르트 사르키샨 | |
2011 | 3위 | 28 | 12 | 10 | 6 | 31 | 16 | 46 | 8강 8강 | 아르센 아베티샨 | 5 | 아브라함 카슈마랸 | |
2012–13 | 3위 | 42 | 18 | 13 | 11 | 48 | 37 | 67 | 준결승 | 디에고 롬바 파리아스 | 9 | 아브라함 카슈마랸, 아베티크 사르그샨, 삼벨 사르그샨, 세바다 아르주마냰 | |
2013–14 | 5위 | 28 | 8 | 11 | 9 | 36 | 31 | 35 | 준우승 | 나레크 베글라랸 | 8 | 세바다 아르주마냰, 스테판 바그다사랸, 세르히 푸치코프 | |
2014–15 | 7위 | 28 | 7 | 8 | 13 | 31 | 44 | 29 | 8강 | 게감 하르투냰, 바실 팔라그뉴크 | 6 | 세르히 푸치코프, 삼벨 페트로시안 | |
2015–16 | 4위 | 28 | 11 | 12 | 5 | 35 | 27 | 45 | 준결승 | 게감 하르투냰, 나레크 베글라랸 | 5 | 삼벨 페트로시안, 아숏 바르세갼 | |
2016–17 | 2위 | 30 | 17 | 6 | 7 | 38 | 24 | 57 | 준결승 | 게감 하르투냰 | 12 | 아숏 바르세갼 | |
2017–18 | 3위 | 30 | 11 | 10 | 9 | 43 | 34 | 43 | 우승 | 게감 하르투냰 | 12 | 카렌 바르세갼, 아숏 바르세갼 | |
2018–19 | 6위 | 32 | 10 | 8 | 14 | 38 | 33 | 38 | 8강 | 게감 하르투냰 | 8 | 아숏 바르세갼, 아르멘 페트로시안 | |
2019–20 | 9위 | 22 | 6 | 7 | 9 | 25 | 29 | 25 | 준결승 | 게감 하르투냰 | 6 | 아르멘 페트로시안 | |
2020–21 | 10위 | 기권 | 1라운드 | ||||||||||
2021–22 | 아르메니아 퍼스트 리그 | 3위 | 28 | 10 | 7 | 11 | 38 | 47 | 37 | 불참 | 오르벨리 함바르줌랸 | 6 | 티그란 게보르갼 |
2022–23 | 3위 | 33 | 22 | 4 | 7 | 85 | 33 | 70 | 준결승 | 알렌 카라페탼 | 24 | 티그란 게보르갼 | |
2023-24 | 1위 | 28 | 24 | 2 | 2 | 69 | 17 | 74 | 2라운드 |
- '''아르메니아 독립컵**: 1회'''
- * 2017-18
2. 5. 유럽 대회 기록
2008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3위를 차지하여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2009-10년 UEFA 유로파리그 출전 자격을 얻었다.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UEFA 유로파 리그 | 12 | 2 | 0 | 10 | 8 | 27 | –19 |
합계 | 12 | 2 | 0 | 10 | 8 | 27 | –19 |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 홈 | 원정 | 합계 |
---|---|---|---|---|---|---|
2009-10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2라운드 | 네덜란드 NAC 브레다 | 0-2 | 0-6 | 0-8 |
2012-13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페로 제도 EB 스트레이무르 | 2-0 | 1-3 | 3-3 (a) |
예선 2라운드 | 스위스 세르베트 FC | 1-3 | 0-2 | 1-5 |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카자흐스탄 FC 악토베 | 1-2 | 1-2 | 2-4 |
2017-18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몬테네그로 FK 믈라도스트 포드고리차 | 0–3 | 0–1 | 0–4 |
2018-19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폴란드 레흐 포즈난 | 2-1 | 0-2 | 2-3 |
FC 간자사르 카판을 거쳐간 주요 선수들은 Category:FC 간자사르 카판의 선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소속 선수 명단과 과거에 활약했던 역대 선수들의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선수
3.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16일 기준)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비고 |
---|---|---|---|---|
1 | GK | 아르메니아 | 하루튠 멜코냔 | |
3 | MF | 일본 | 사와다 타카후미 | |
4 | DF | 아르메니아 | 바헤 무라댠 | |
5 | DF | 일본 | 칸다 슌토 | |
7 | FW | 카메룬 | 베르트랑 마니 | |
8 | MF | 아르메니아 | 사르기스 샤히냔 | |
10 | MF | 아르메니아 | 알렌 타틴치얀 | |
11 | MF | 아르메니아 | 에리크 소고모니얀 | |
12 | GK | 러시아 | 세르게이 도첸코 | |
14 | MF | 나이지리아 | 오포에케 치부이케 엠마누엘 | |
15 | DF | 코트디부아르 | 살리아 카데르 트라오레 | |
16 | MF | 아르메니아 | 그리고르 무라댠 | |
17 | MF | 아르메니아 | 아르탁 예디가랸 | 주장 |
18 | FW | 러시아 | 그리샤 파로니얀 | |
20 | DF | 러시아 | 부냐무딘 무스타파예프 | |
21 | DF | 아르메니아 | 아르만 아실리얀 | |
22 | DF | 아르메니아 | 티그란 보파냔 | |
23 | DF | 러시아 | 니키타 스테파노프 | |
24 | FW | 가나 | 이스라엘 나나 오포쿠 | |
26 | DF | 세네갈 | 우스만 파예 | |
27 | MF | 브라질 | 페피 | |
29 | DF | 아르메니아 | 수렌 자카랸 | |
30 | FW | 아르메니아 | 아쇼트 코차랸 | |
32 | FW | 아르메니아 | 에드가르 게본댠 |
3. 2. 역대 선수
- 로만 베레조프스키 (아르메니아) - 1992
- 윌리엄 데 올리베이라 포치케 (브라질) - 2013
- 바우멜손 가르시아 프라이아 (브라질) - 2016~2017
4. 스태프
(내용 없음)
4. 1.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
수석 코치 | 티그란 게보르기안 |
코치 | 노라이르 탐라잔 |
코치 | 티그란 이바냔 |
골키퍼 코치 | 티그란 가자리안 |
팀 닥터 | 아라 아라미안 |
- 카렌 바르세그얀 2017-
4. 2. 운영진
wikitext직책 | 이름 |
---|---|
집행 이사 | 바르단 지아니안 |
부 이사 | 아르투르 마르가리안 |
언론 비서 | 스파르타크 페트로시안 |
5. 경기장
FC 간자사르 카판은 홈 경기를 간자사르 스타디움에서 치른다. 이 경기장은 '''카판 시립 경기장'''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수용 인원은 3,500명이다. 경기장은 보흐지강 좌안의 카판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다.
2017년 초에는 간자사르 스타디움의 개보수 공사로 인해 일시적으로 예레반에 있는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으로 홈 구장을 옮겨 사용했다.
6. 유소년 아카데미
간자사르 카판은 2013년 5월 개장 이후 카판 시에서 자체 유소년 훈련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천연 잔디와 인조 잔디 훈련 구장을 갖춘 이 센터는 35000m2 면적을 차지한다.
카판 외에도, 구단은 수도 예레반의 생가비트 구에 축구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7. 간자사르 카판-2
FC 간자사르 카판의 2군 팀으로, 2006년에 창단되어 아르메니아 퍼스트 리그에서 '간자사르 카판-2'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홈 경기는 카판에 위치한 간자사르 카판 훈련 센터의 인조 잔디 구장에서 치렀다.
구단주는 장게주르 구리 및 몰리브덴 결합 CJSC였으며, 가르니크 아가바비안이 전무 이사(회장)를, 아쇼트 마누차리안이 감독을 맡았다. 2016–17 시즌에는 리그 4위를 기록했다.
8. 수상 경력
9. 역대 감독
이름 | 국적 | 재임 기간 |
---|---|---|
알베르트 사르키샨 | 아르메니아 | 2006년 2월 1일 – 2006년 12월 1일 |
수렌 바르세걈 | 아르메니아 | 2007년 |
아브라함 하쉬마냔 | 아르메니아 | 2007년 |
삼벨 페트로샨 | 아르메니아 | 2007년 – 2009년 |
슬라바 가브리엘랸 | 아르메니아 | 2009년 7월 1일 – 2010년 |
알베르트 사르키샨 | 아르메니아 | 2010년 4월 20일 – 2010년 12월 20일 |
아브라함 하쉬마냔 | 아르메니아 | 2010년 – 2012년 |
삼벨 사르그샨 | 아르메니아 | 2012년 5월 24일 – 2012년 9월 12일 |
세바다 아르주마냔 | 아르메니아 | 2012년 9월 8일 – 2014년 4월 14일 |
세르히 푸치코프 | 우크라이나 | 2014년 4월 30일 – 2014년 12월 2일 |
아숏 바르세걈 | 아르메니아 | 2015년 3월 11일 – 2017년 7월 12일 |
카렌 바르세걈 | 아르메니아 | 2017년 7월 13일 – 2018년 3월 26일 |
아숏 바르세걈 | 아르메니아 | 2018년 3월 26일 – 2019년 4월 30일 |
아르멘 페트로샨 | 아르메니아 | 2019년 5월 1일 – 2020년 11월 3일 |
티그란 게보르걈 | 아르메니아 | 2021년 5월 1일 – 현재 |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facebook.[...]
2024-02
[2]
웹사이트
Clubs
http://www.ffa.am/en[...]
2019-06-21
[3]
웹사이트
Բաց նամակ "Զանգեզուրի Պղնձամոլիբդենային կոմբինատ"
https://www.facebook[...]
FC Gandzasar Kapan Facebook
2020-11-04
[4]
웹사이트
Գանձասար-Կապանը պաշտոնական նամակ է ուղարկել ՀՖՖ
https://www.ffa.am/h[...]
Football Federation of Armenia
2020-11-03
[5]
웹사이트
RSSSF Armenia (and subpages per year)
https://www.rsssf.or[...]
[6]
웹사이트
FC Shirak achievements
http://fcshirak.am/e[...]
2019-06-21
[7]
웹사이트
Gandzasar gearing up for European bow
http://www.uefa.com/[...]
UEFA.com
2009-07-16
[8]
웹사이트
Pyunik win record seventh Armenian Cup
http://www.uefa.com/[...]
UEFA.com
2014-05-07
[9]
웹사이트
FC Pyunik won Armenian Cup title (video)
http://www.ffa.am/en[...]
알메니아サッカー連盟
2014-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